통신비 환급금, 대출, 보험 관련 키워드

정부지원금 페이지입니다

지원금 정보 확인하세요!

💰통신비 환급금 : 최대 30만원 지원

🚨주민등록 사실조사 : 의도적 회피시 50만원 벌금

🏡 1인가구 주거안정 : 월세 30만원 지원

🧚‍♂️신혼부부 주거안정 : 행복주택 ,전세임대, 이자지원


2025 신혼부부 주거안정 지원금, 지금 바로 자격 확인해보세요!

신혼의 달콤함을 만끽해야 할 시기, 가장 현실적인 고민은 바로 ‘주거 문제’입니다. 집값은 여전히 높은데, 자산도 아직 많지 않은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건 큰 도전입니다. 이런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2025년부터 신혼부부 주거안정 지원금 제도를 더욱 확대했습니다. 특히 소득과 자산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신혼부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신혼부부 주거안정 지원금 신청바로가기

lh청약 플러스 바로가기

청년 주거지원 자가진단 바로가기


신혼부부 주거안정 지원금이란?

‘신혼부부 주거안정 지원금’은 무주택 신혼부부에게 임대주택, 전세자금 지원,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등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2025년에는 자산 기준이 3억 3,700만원 이하, 차량 기준이 3,803만원 이하까지로 확대되어 지원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또한,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 (맞벌이 시 120% 이하)이면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지원 대상 조건 정리

  • 혼인 기간: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포함
  • 자녀 조건: 6세 이하 자녀 있거나 태아 포함 시 우대
  • 소득 조건: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100% 이하 (맞벌이 120%)
  • 자산 조건: 총자산 3억 3,700만원 이하, 차량 3,803만원 이하
  • 주택 조건: 무주택 세대주여야 함
  • 예비부부: 예식 계약서 등 혼인 예정 증빙 가능

어떤 제도들이 있나요?

1. 행복주택 (공공임대)

  • 시세의 60~80% 임대료
  • 기본 거주 2년, 최장 14년까지 가능
  • 직장 및 학교 접근성 높은 역세권 위주 공급

2. 신혼희망타운 임대형

  • 전세 시세의 약 80% 임대
  • 자녀 없으면 6년, 자녀 있으면 최대 10년까지 거주
  • 혼인 7년 이내 및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정 포함

3. 전세임대주택 (LH 운영)

  • 수도권 최대 2억 4천만 원까지 전세 지원
  • 전세금 일부만 자부담, 나머지 LH에서 지원
  •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신혼부부 신청 가능

4.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 지자체별로 최대 5.5% 이자 지원, 최대 6년
  • 예: 경상북도 거주자 대상 이자지원 프로그램 운영

신청 절차

  1. 모집 공고 확인: LH청약플러스 및 지방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2. 자가진단: 마이홈포털 → '신혼부부 주거지원' 메뉴 → 자격 진단
  3. 신청 접수: 온라인 또는 현장 접수 가능
  4. 서류 제출: 혼인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자산·소득 증빙 / 예비신혼부부는 예식 계약서 등 필요
  5. 추첨 및 계약: 순위제 (1~3순위)로 당첨자 선정 후 계약 체결

당첨자 선정 기준

  • 1순위: 해당 주택건설지역 또는 인접지역 거주
  • 2순위: 동일 광역권 거주
  • 3순위: 전국 신청자 중 경쟁

실수 없이 신청하는 꿀팁!

  • 신청 시기 놓치지 않기: 예산 조기 소진될 수 있으므로 LH청약플러스나 마이홈포털 자주 확인하세요.
  • 중복 신청 제한: 일부 제도는 중복 적용이 불가능하니 가장 유리한 제도를 먼저 신청하세요.
  • 필수 서류 미리 준비: 신청 시작 전에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증명서, 소득자료 등 미리 준비하면 편리합니다.

마무리하며

신혼생활의 첫걸음을 안정적으로 시작하고 싶다면, 정부의 주거안정 정책을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이번 2025년 지원책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인 거주를 가능하게 하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오늘 바로 마이홈포털에서 자격진단을 해보고, 접수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

참고 영상